
포기하는 MZ세대:
북한이탈주민 학업 & 직장 생활 진단
문수인 연구원
포기하는 MZ세대:
북한이탈주민 학업 & 직장 생활 진단
문수인 연구원
대한민국의 교육열을 증명하듯 우리나라 25~34세 청년층의 전문대학 이상 고등교육 이수율은 69.8%로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중 1위를 차지했습니다.¹ 반면 선진국 중 고학력 청년층의 비율이 가장 높음에도 불구하고 전문대졸, 대졸 취업자는 모두 OECD 평균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² 그럼 북한이탈주민의 교육열과 학업중단율, 취업률과 이직률은 어떨까요? 이번 화에서는 2021년 12월 MZ세대 북한이탈주민 청년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³ 결과를 바탕으로 북한이탈주민 학업 중단율과 이직률에 대한 생각을 나누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설문에 참여한 61.2%는 전문대 재학 이상으로 대한민국 청년들의 평균과 크게 다르지 않은 수치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본인이 기대하는 교육 수준은 대학교(4년제 이상) 이상이 44.1%, 대학원 석사 18.9%, 대학원 박사 14.4%로 만 15세 이상 북한이탈주민 전체를 대상으로한 2020 북한이탈주민 사회통합조사⁴ 결과(4년제 대학 이상 26.2%, 대학원 석사 7.2%, 대학원 박사 6.0%)와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그림 1) 또한 자녀 기대 교육 수준은 대학원 박사 30.3%로 일반국민에 비해 약 3배가 높은 수치를 보였습니다. (그림 2) 이러한 비교를 통해 MZ세대 북한이탈주민들의 교육에 대한 열정과 관심이 기성세대 북한이탈주민이나 일반 국민에 비해 월등히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림 1> 본인이 기대하는 교육 수준
<그림 2> 부모가 기대하는 자녀 교육 수준
반면 교육에 대한 관심과 열정에 비해 현실 상황은 전혀 달랐습니다. 북한이탈주민의 학업중단율을 살펴보면 2020년 기준 탈북 청소년들의 학업 중단 비율은 2.9%로 일반 학생의 0.6%보다 5배 가까이 높았으며, 초등학교 1.5%, 중학교 2.7%, 고등학교 4.8%로 학년이 올라갈수록 학업 중단 비율이 증가했습니다.⁵ 남한 학생의 경우 초등학교 0.4%, 중학교 0.5%, 고등학교 1.1%로⁶ 탈북 청소년에 비해 낮은 학업중단율을 보였습니다.(그림3)
<그림 3> 초·중·고 학생 학업 포기율
대학의 경우 역시 탈북 대학생의 학업 중단 비율이 10.2%로 일반 대학생 5.0%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⁷ 우리온 설문에서도 16.2%가 대한민국 입국 후 학업을 중단한 경험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학업중단 이유에는 경제적 어려움, 선배들의 폭력 같은 학교 문화 문제, 건강 문제, 전공이 안 맞거나 수업을 따라가기 어려워서 등의 이유가 있었습니다. 물론 워킹홀리데이나 다양한 경험을 하고 싶어 학업을 중단한 경우도 있었지만 위에 나열한 경제적 어려움 등의 문제가 대다수를 차지했습니다.
북한이탈주민의 취업률과 이직률(평균 근속기간)은 어떨까요? 성별 고용률을 비교해보면 남성 70.6%, 여성 49.3%로 일반국민 대비 남성은 0.4% 높고, 여성은 1.7%낮은 수치를 기록하며, 취업률 자체로는 일반국민과 크게 다르지 않은 점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⁸ 반면 북한이탈주민의 평균 근속기간은 31.6개월로⁹ 일반 국민의 평균 근속기간인 81.6개월과¹⁰ 비교할 때 38.7%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그림 4)
<그림 4> 평균 근속기간 (개월)
또한 3년 이상 장기 근무하는 북한이탈주민 임금근로자는 30.5%에 불과하고 취업 4개월 이내에 퇴직하는 임금근로자가 19.2%, 1년 이내에 퇴직하는 근로자는 4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¹¹ 우리온 설문을 바탕으로 한 MZ세대 북한이탈주민의 경우 53.2%가 직장에 다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장을 다니는 46.8% 중에서도 41.7%가 이직 의사를 나타냈습니다. 이직을 원하는 이유로는 수입이 적어서, 일이 힘들어서, 안정적이지 않아서 등의 이유가 있었습니다.
한국노동연구원의 연구에 따르면 북한이탈주민 근로자들이 직장에서 만족하지 못하고 이직하게 되는 중요한 원인이 대인관계 기술의 부족이라고 합니다.¹² 또한 우울증과 PTSD로 인한 심리적 문제나 소통의 어려움도 북한이탈주민의 학업포기율과 이직률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큽니다.
여러분은 이와 같은 우리 북한이탈주민의 위기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서로 긴밀한 연관이 있는 북한이탈주민 커뮤니티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이제는 우리 모두가 함께 고민하고 노력해야 할 때입니다.
1. 이승환(2021년 9월 16일) “대학 나온 청년 비율 OECD 1위지만...취업률 평균 이하” 대학저널 (2021년 12월 22일 검색)
2. 위의 글
3. 설문기간 : 12.03.~12.15. 설문 대상자: 1980년생부터 2003년 사이 태어난 북한이탈주민 111명. 2021년 기준 한국나이(세는 나이) 19세부터 42세까지, 평균 나이 31.8세. 성별은 여자 85.6%, 남자 14.4%; 출생지역은 함경북도 40.5%, 양강도 29.7%, 평양 6.3%, 기타 23.5%. 현재거주지 서울 40.5%, 경기도 36.0%, 인천 13.5%, 기타 10.0%. 최종 탈북 시기: 1997년부터 2019년까지 다양하게 분포. 대한민국 입국 시기: 2001년부터 2020년까지 다양하게 분포
4. 정인성(2021) 2020 북한이탈주민 사회통합조사.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남북하나재단)(2021년 12월 22일 검색)
5. 교육부(2021년 8월 26일) 동정자료. 교육부(2021년 12월 23일 검색)
박성의(2021년 10월 7일) “[단독] 교육 사각지대 내몰린 탈북청소년…학업중단율 최대 3배 육박” 시사저널(2021년 12월 23일 검색)
6. 교육부(2021년 8월 26일) 동정자료. 교육부(2021년 12월 23일 검색)
e-나라지표. (n.d.). 근로자 평균근속년수, 평균연령, 학력별 임금. 고용노동부(2021년 12월 23일 검색)
7. 이재영(2018년 4월 28일) “'먼저 온 통일'…탈북학생 2천500명…10년새 3.7배로 증가”. 연합뉴스(2021년 12월 22일 검색)
8. 정인성(2021) 2020 북한이탈주민 정착실태조사.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남북하나재단)(2021년 12월 22일 검색)
9. 정인성(2021) 2020 북한이탈주민 정착실태조사.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남북하나재단)(2021년 12월 22일 검색)
10. e-나라지표. (n.d.). 근로자 평균근속년수, 평균연령, 학력별 임금. 고용노동부
11. 김정환(2021년 10월 18일) “이상민 의원, 북한이탈주민 근속기간 일반 국민 절반도 안 돼”. BreakNews
12. 선한승. 북한 이탈주민의 취업실태와 정책과제 연구.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2005.